BibleSalon

Salon

고통

말씀살롱 2025. 6. 27. 16:18
728x90
반응형

 

2025년 6월 27일 금요일 / 작고 사소한 일은 연민으로 충분하다 

 

『욥기』를 끝까지 읽어봐도 욥이 이 시련의 의미를 찾은 것 같지는 않다. 그보다는 고통의 원인을 찾는 일의 무의미함을 발견했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다. 성서 속 신은 '왜 내가 이런 고통을 받아야 하느냐'고 묻는 욥을 마뜩지 않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욥이 그 질문을 거둬들이고 그저 순종하기로 마음을 먹었을 때에야 신은 그에게 (답이 아닌) 보상을 내린다. (김영하, <단 한 번의 삶>, 복복서가, 2025, p.111) 

 

알 수 없는 일은 알 수 없는 대로 내버려둬야 한다. 고통의 문제가 그러하다. 고통에 원인은 무엇인가. 이런저런 근거를 들어가며 말을 보탤 순 있지만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럼 입을 닫는 게 옳은 일일 테다. <욥기>의 이야기를 자주 들어왔지만 욥에게 일어난 사건을 김영하 작가가 잘 정리한 것 같아 그의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한다. 욥은 큰 시련을 그것도 계속해서 겪는다. 그는 길고 긴 신과의 논쟁 끝에 자신의 약함과 그분의 크심을 안 뒤, 따지기보다는 순종하기로 마음을 먹는다. 그러자 그에게 신의 보상이 임한다. 김영하 작가는 욥이 겪은 이 일을 보며 그가 마침내 고통에 담긴 의미를 찾은 것이 아니라 고통의 원인을 찾는 일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찾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게 맞다. 성경에서 욥은 고통받을 이유가 없는 인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그는 고통의 원인을 밝히지 못한다. 고통의 문제는 민감하다. 그래서 조심해야 한다. 고통이 원인을 찾기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면 고통은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인 거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영하 작가가 이 챕터 마지막에 한 말에 나는 깊은 동의를 표한다. "만약 그렇다면 언젠가 '잘 통제된 고통'이 아닌, 그야말로 아무 의미도 찾을 수 없는 끝 모를 고통에 직면할 때, 나는 무엇으로 그것을 견딜 수 있을까?" 남의 고통이 나의 고통이 됐을 때, 더구나 그 고통에서 아무런 의미도 찾을 수 없을 때, 우리는 무엇으로 그 고통을 견뎌낼 수 있을까? 

 

 

말씀살롱 l 잔잔한 묵상의 시간

말씀을 나누고 공부하는 살롱(salon)입니다. 성경 말씀을 묵상하고 말씀을 삶에 적용합니다.

www.youtube.com

 
단 한 번의 삶
『여행의 이유』 이후 6년 만의 신작 산문 -오직 한 번만 쓸 수 있는, 나의 삶에 대하여 김영하가 신작 산문 『단 한 번의 삶』을 출간했다. 60만 명이 넘는 독자의 사랑을 받은 『여행의 이유』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산문집으로, 유료 이메일 구독 서비스 ‘영하의 날씨’에 2024년 연재되었던 글을 대폭 수정하고 다듬어 묶었다. ‘영하의 날씨’는 초기 구독자의 초대로만 가입이 가능한 서비스로 화제를 모으며 연재 당시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단 한
저자
김영하
출판
복복서가
출판일
2025.04.06
728x90
반응형

'Sal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5.07.02
불안  (0) 2025.07.01
자비와 연민  (3) 2025.06.25
신비한 질문  (1) 2025.06.24
마음  (0) 202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