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작가야의 BibleSalon

Salon

인간의 사랑

이작가야의 말씀살롱 2025. 3. 2. 12:09
728x90
반응형

 

2025년 3월 2일 일요일 / 내가 누군가에게 어른의 형상을 보였다니 

 

"지독한 악취에 기절하려고 하는 애인에게 시인은 종부성사를 끝내고 무성한 풀꽃들 아래 백골들 사이에 누우면 우아한 그대도 이렇게 되리라는 것을 잊지 말라고 말한다. 이쯤에서 그친다면 이 시는 시간이 모든 것을 파괴한다는, 너무도 흔한 개념을 전달하는 교훈시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보들레르는 이 시의 가장 중요한 이미지를 마지막 연에 담아놓았다. 시인은 아름다운 애인에게 그대의 몸에 곰팡이가 슬고 구더기들이 키스를 퍼부을 때 그대의 품이 해체되더라도 그대를 사랑하는 나는 내 사랑의 형상과 거룩한 본질을 간직해두었노라고 그 구더기들에게 말해달라고 부탁한다." (김인환, <타인의 자유>, 난다, 2020, p.183) 

 

인간의 사랑은 불완전하다. 그래서 타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 타자는 절대적인 타자를 말하기도 하고, 불현듯 출현한 우연한 타자를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타자의 도움 없이 사랑을 한 단계 높이는 이들도 있다. 그들에게도 인간의 사랑은 여전히 불완전하고 그 사랑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그들은 사랑의 한계를 너무 잘 알기에 그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다. 보들레르는 화창하고 아름다운 아침에 애인과 함께 나선 산책길에서 썩은 짐승의 사체를 보았다. 그 사체는 아름다운 그날 아침과 극명하게 대조되는 듯했고, 그랬기 때문인지 보들레르는 삶의 유한함과 부질없음을 느꼈다. 그래서 시인은 애인에게 누구나 삶의 끝은 이러한 형상이 됨을 잊지 말라고 당부한다. 여기서 끝나면 그의 시는 그저 평범한 '교훈 시'에서 멈췄을 것이다. 하지만 보들레르는 '이 시의 가장 중요한 이미지를 마지막 연에 담아놓았다.' 시인은 애인에게 당신의 몸이 이처럼 해체되더라도 자신은 당신을 사랑하는 그 사랑의 형상과 거룩한 본질을 잘 간직해두었노라고 구더기들에게 말해달라고 부탁한다. 황현산 선생은 이 대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그 이야기를 옮겨 놓을까 한다.

 

"인간의 생명은 연약하여 머지않아 스러질 것이기에 오히려 영원할 수 있다. '인간이 인간에게 바치는 사랑은 변덕스럽고 불완전하지만 스러지는 인간은 그 사랑을 가장 완전하고 가장 영원한 형상으로 간직해둘 수 있다. 삶은 덧없어도 그 형상과 형식은 영원하다. 그래서 한번 살았던 삶은 그것이 길건 짧건 영원한 삶이 된다.'"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290쪽) 

 

 

이작가야의 말씀살롱

살롱(salon)에서 나누는 말씀 사색

www.youtube.com

 
타인의 자유(양장본 HardCover)
문학평론가 김인환 선생의 새 책을 펴낸다. 문학을 기본으로 하되 인문·예술 전반에 걸쳐 평생의 읽기와 쓰기로 그 고개 숙임의 기울기만큼이나 그 각도로 등이 굽어온 선생의 산문집이며 『타인의 자유』라 하는 바다. 로자 룩셈부르크의 말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자유”가 좋아 그 읽힘에서 제목을 비롯해왔다는데 이는 이 한 권의 책이 왜 쓰이고, 이 한 권의 책이 왜 묶였는가에 대한 충분한 힌트이자 근접한 답일 것도 같다. 선생은 머리말 가운데 이렇게
저자
김인환
출판
난다
출판일
2020.03.20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문학평론가이자 불문학자인 황현산의 신작 산문집 『황현산의 사소한 부탁』. 2013년 3월 9일에 시작되어 2017년 12월 23일에 끝나는 글을 담은 이번 산문집은 첫 번째 산문집 《밤이 선생이다》 이후 5년 만에 펴낸 것으로, 첫 글부터 마지막 글까지 그 어떤 흐트러짐이나 곁눈질 없이 황현산이라는 사람의 방향성이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는 책이다. 번역가로서의 소임을 다하면서도 결코 순탄하지 않았던, 참혹하리만치 망가져버렸던 우리 정치사회의 면면
저자
황현산
출판
난다
출판일
2018.06.25
728x90
반응형

'Sal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픔  (1) 2025.03.11
애도  (1) 2025.03.06
있지 않음의 기쁨  (0) 2025.02.28
  (0) 2025.02.26
향락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