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_admin/blogs/image/category/new_ico_1.gif)
2025년 2월 12일 수요일 / 눈 맞으며 조깅 출근한 날 "굶은 상처에 시달리며 보람 없이 살다 도시의 골목에 쓰레기처럼 버려져서 죽어가더라도 인간은 내면에 신전을 세울 힘을 간직하고 있다. (...) 릴케에게는 이것들이 천사의 유혹을 단호하게 거절하고 인간의 고통 속에 머물러야 할 이유가 된다." (김인환, , 난다, 2020, p.91) 릴케의 시 를 해석한 김인환 선생의 관점이다. 그의 관점을 긍정하며 나의 이야기를 보태려고 한다. 릴케에게 인간은 '의지할 곳 없이 공허와 고통에 시달리는 존재이고 해석된 세계에서 관습에 맹종하는 존재'(88쪽)이다. 그에게 인간은 나약하고 늘 고통받는 존재이다. 그러나 릴케는 인간의 가능성을 한계 안에 가두지 않는다. 그는 인간을 가엽게 여기는 만큼 또한 적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