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bleSalon

Essay

[에세이] 청춘

말씀살롱 2016. 12. 24. 19:17
728x90
반응형

 

청춘의 한 문장을 남겨볼까 한다, 조금은 서글프지만 그래도 희망적인. 소설가 김연수 씨는 <청춘의 문장들>에서 '청춘'을 일러 이렇게 표현했다. "인생의 정거장 같은 나이. 늘 누군가를 새로 만나고 또 떠나보내는 데 익숙해져야만 하는 나이. 옛 가족은 떠났으나 새 가족은 이루지 못한 나이. 그 누구와도 가족처럼 지낼 수 있으나 다음 날이면 남남처럼 헤어질 수 있는 나이. 그래서인지 우리는 금방 오랫동안 알고 지내던 사이처럼 친해질 수 있었다." 몇 해 전, 청년들을 대표한 기도 자리에서 이 글귀에 마음을 담아 기도했던 기억이 난다. 12월이 지닌 양면성 때문이었을까, 성탄의 절기에 이 글귀의 부활은 또 무엇이란 말인가. 

12월은 정신을 집중하며 지내려고 무지 애쓰는 아주 골치 아픈 달이다. 12월의 생일과 크리스마스, 그리고 31일. 이 세 날에 과도하거나 혹은 왜곡된 의미 부여로 지나친 외로움에 직면하기 싫기 때문이었을까. 옛 가족은 떠나보냈지만 새 가족을 맞이하지 못한 나와 같은 어중간한 계층의 청춘들은 어떤 마음인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으리라.

얼마 전 지인 한 분이 생일이나 연말에는 고독을 자처하지 말고 사람들과 모임을 만들어 즐거이 보내라고 말해줬다. 그 한 마디에 감춰져 있던 두 가지 마음이 불쑥 솟아 올랐다. 한 가지는 누군가 그런 모임을 만들어 초대해 줬으면 하는 마음 하나와 다른 한 가지는 외로움을 달래고자 이 사람 저 사람을 만나기보다 소중한 소수의 사람들과 따스한 시간을 보내고 싶은 마음이 바로 그것이었다.

12월은 성탄만 생각하며 기뻐하기엔 조금은 가혹한 달이다. 청춘은 늘 누군가를 만나고 떠나보내는데 익숙해져야만 하는 나이라는데 그게 참 쉽지가 않다. 아직 어린 아이의 모습인 건지 아님 이미 늙어버린 건지. 김연수는 책 말미에 이런 이야기를 덧붙인다. "청춘은 그런 것이었다. 뜻하지 않게 찾아왔다가는 그 빛도 아직 사라지지 않았는데, 느닷없이 떠나버렸다." 청춘은 느닷없이 사라질 그 빛을 위해 오늘을 살아내라는 은총의 압축적 시간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자신이 살아 있음과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수많은 청춘은 오늘도 그렇게 광장의 불을 밝히나 보다.

 

 

이작가야의 말씀살롱

살롱(salon)에서 나누는 말씀 사색

www.youtube.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