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2월 18일 화요일 / 목덜미가 뻐근한 아침 "아기도 아니고 소년도 아니고, 가족도 아니고 고아도 아니고, 보호의 품은 깨어졌으나 홀로 걸어갈 내 안의 무언가는 깨어나지 못한 나이(일곱 살). 문득문득 한낮의 어둠이 찾아오고 한밤의 몽유가 걸어오고, 자주 세상의 소리가 끊어졌고 이 지상에 나 혼자인 듯 아득해지곤 했다." (박노해, , 느린걸음, 2024, p.45) 소설가 김연수는 청춘을 일러 이렇게 말했다. "인생의 정거장 같은 나이. 늘 누군가를 새로 만나고 또 떠나보내는 데 익숙해져야만 하는 나이. 옛 가족은 떠났으나 새 가족은 이루지 못한 나이" 당시 이 문장에 왜 그렇게 공감이 됐을까. 내가 그 시절을 보내고 있었기 때문이리라. 오늘 박노해 선생의 책을 읽다가 그보다 더 어린 시..